본문 바로가기
세금·종합소득세 가이드

5월 종합소득세, 신고 전에 꼭 알아야 할 3가지

by 기록하는 해나 2025. 4. 12.
반응형

매년 5월이면 찾아오는 종합소득세 신고.

사업자든 프리랜서든 일정 수입이 있는 사람이라면 꼭 해야 하는데요.

'어떻게 신고하는지'만큼 중요한 게 사전에 뭘 준비하느냐예요.

오늘은 초보자도 꼭 챙겨야 할 핵심 포인트 3가지를 알려드릴게요.

1️⃣ 신고 대상인지 먼저 확인하자

먼저 내가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자인지부터 확인해야 해요.

사업소득, 프리랜서 소득, 이자·배당소득, 임대소득 등 다양한 수입이 있다면( 대부분 해당됩니다!

  • 직장인이면서 투잡(배달, 블로그, 부업 등) 하는 경우도 포함
  • 강의료, 원고료 받은 프리랜서도 대상
  • 단, 근로소득만 있는 일반 직장인은 보통 신고 대상 아님

예시: 2024년에 블로그 체험단 활동으로 200만 원 수익 발생 → 종소세 신고 대상자!

2️⃣ 절세를 위한 지출 증빙 자료 준비

세금을 줄이려면 지출 내역 증빙이 필수예요.

세법에서 인정하는 경비나 공제 항목을 미리 챙겨야 합니다.

  • 업무 관련 장비 구매 영수증
  • 인터넷, 전화 요금 (업무용으로 인정되는 경우)
  • 세무사 비용, 홍보비 등 사업 관련 지출

증빙 자료는 종소세 신고 시 꼭 첨부해야 하고, 신고 마감일 전까지 모아두는 게 안전해요.

3️⃣ 간편 장부냐, 복식장부냐? 유형 확인하기

사업소득이 있는 경우, 어떤 장부로 신고하느냐에 따라 세금이 달라질 수 있어요.

국세청 기준에 따라 연매출 기준으로 장부 유형이 나뉘는데요, 대부분의 1인 사업자나 프리랜서는 간편 장부 대상자에 해당돼요.

  • 연 매출 7,500만 원 미만 → 간편 장부(대부분 여기에 해당!)
  • 그 이상이면 → 복식장부

간편 장부는 준비할 게 적지만, 복식장부는 세무사의 도움을 받는 게 좋아요. 잘못 신고하면 오히려 가산세가 붙을 수 있으니 주의!

정리: 종소세 신고 전에 반드시 확인할 것

  • ☑ 나는 신고 대상자인가?
  • ☑ 지출 증빙 자료는 모았는가?
  • ☑ 어떤 장부로 신고할 것인가?

이 세 가지만 잘 챙겨도 세금 폭탄은 피하고, 절세도 가능합니다.

다음 글에서는 홈택스에서 직접 신고하는 방법을 아주 쉽게 알려드릴게요!

📚 함께 보면 좋은 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