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금·종합소득세 가이드

종합소득세 신고 총 정리! (2025년 최신)

by 기록하는 해나 2025. 4. 17.
반응형

매년 5월은 종합소득세 신고의 달인 거 아시죠? 

하지만 바쁘다는 이유로, 나랑 상관없는 일처럼 넘기다 보면 ‘가산세’라는 벌금이 붙을 수도 있어요!

이번 글에서는 누가, 언제, 어떻게 신고해야 하는지 초보자도 알기 쉽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 1. 종합소득세, 누구에게 해당될까?

‘종합’ 소득이란? 한 해 동안 발생한 여러 종류의 소득을 합친 거예요. 이 중에서 근로소득 외 소득이 있다면,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이 될 수 있어요.

  • ✔️ 프리랜서, 유튜버, 블로거 등 ‘사업소득’이 있는 사람
  • ✔️ 직장인이면서 부업 수익이 있는 사람 (배달, 중고거래 등)
  • ✔️ 임대소득, 이자·배당소득, 연금소득 등 복합 소득자

예시 : 직장인 A 씨는 월급 외에 토요일마다 과외로 수입이 있었어요.

이 수입은 원천징수 없이 통장으로 들어왔기 때문에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이에요.

✔️ 2. 신고 기간 & 놓치면 생기는 불이익

  • 📌 신고 기간: 매년 5월 1일 ~ 5월 31일
  • 📌 납부 기한: 5월 31일까지 (카드, 이체, 무통장 가능)
  • 📌 미신고 시 가산세: 납부세액의 최대 20% + 연체이자 발생!

TIP : 신고는 하지 않고 그냥 넘어가면 “세금 안 내도 되는 줄” 알았다가, 몇 년 뒤 국세청에서 추징 + 가산세까지 청구하는 사례가 많아요. 꼭! 기한 내 신고하세요.

✔️ 3. 종합소득세 신고 절차 (홈택스)

홈택스를 통해 누구나 쉽게 신고할 수 있어요.

  1. 1️⃣ 홈택스 접속 후 로그인
  2. 2️⃣ 신고/납부 → 종합소득세 → ‘정기신고’ 선택
  3. 3️⃣ 본인 소득자료 자동 조회 → 누락된 수익 수동 입력
  4. 4️⃣ 경비 및 공제항목 입력 → 세액 확인
  5. 5️⃣ 제출 및 납부 진행

✔️ 4. 가산세 피하려면 이것만은 꼭!

  • ✔️ 홈택스에서 ‘간편 장부’로 신고하면 간단하고 편해요
  • ✔️ 세무사 도움 없이도 자동 자료 불러오기로 대부분 처리 가능
  • ✔️ 소득이 적어도 신고는 해야 합니다 (무신고 가산세 있음!)

✔️ 자주 묻는 질문 (FAQ)

Q. 소득이 적어서 세금이 없을 것 같은데 신고 안 해도 되나요?
👉 아니요. 소득이 얼마든 신고는 필수입니다. 안 하면 가산세 부과 대상이에요.

 

Q. 작년에만 잠깐 부업했는데요?
👉 해당 연도 소득이 발생했다면 반드시 신고해야 해요. 단기 수익도 신고 대상이에요.

 

Q. 신고 안 했는데도 국세청 연락이 없어요
👉 당장은 없을 수 있지만, 3~5년 뒤 추징 + 가산세까지 날아올 수 있어요!

✔️ 요약정리

  • 종합소득세는 매년 5월에 신고, 소득이 적어도 신고는 필수
  • 미신고 시 가산세 + 연체이자 발생
  • 홈택스를 통해 쉽고 빠르게 신고 가능
  • 가산세 피하려면 기한 내 신고 + 소득 자료 정리 필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