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부지원·복지정보

고용보험과 워크넷 사이트 차이점

by 기록하는 해나 2025. 4. 20.
반응형

실업급여 신청하고 구직활동을 하다 보면 '고용보험 사이트' '워크넷'을 자주 보게 돼요.

근데 이 두 사이트, 뭐가 다른지 헷갈리는 분 많죠? 저도 실업급여 알아볼 때 너무 헷갈렸는데요. 

 

저와 같은 분이 많으실 것 같아 이번 글에서는 실업급여 수급 과정에서 꼭 같이 쓰게 되는 필수 사이트인,

'고용보험 사이트'와 '워크넷'을 쉽고 회에 정확히 정리해 드릴게요.

✔️ 고용보험 사이트는 뭐 하는 곳이야?

고용보험 사이트(https://www.ei.go.kr)는 실업급여 관련 행정 업무를 처리하는 곳이에요.

쉽게 말하면 '실업급여 본진'이라고 생각하면 돼요.

여기서 실업급여를 신청하고, 실업인정일마다 구직활동 내용을 입력하고, 수급내역도 확인할 수 있어요.

고용보험 사이트에서 할 수 있는 일

  • 실업급여 수급자격 신청
  • 수급자격 교육 수강
  • 실업인정일 신청
  • 급여 입금 확인 및 신청 이력 조회
  • 온라인 취업특강, 직업훈련 정보 조회

예시) 

퇴사한 뒤 실업급여를 신청하려면 가장 먼저 고용보험 사이트에서 수급자격을 신청해야 해요.

워크넷에 구직신청만 하고 여기 신청 안 하면 실업급여는 못 받는 거예요!

✔️ 워크넷은 무슨 역할을 하지?

워크넷(https://www.work.go.kr)은 고용노동부에서 운영하는 국가 공식 취업 포털이에요.

이력서 등록하고, 채용공고 검색하고, 입사지원도 할 수 있는 곳이죠.

여기서 구직활동을 하면 고용보험 시스템과 연동돼서 자동으로 실업인정에도 반영돼요.

워크넷에서 할 수 있는 일

  • 이력서·자기소개서 작성 및 등록
  • 채용공고 검색 및 입사지원
  • 구직활동 내역 자동 저장
  • 취업특강, 직업심리검사 등 부가 서비스 이용

예시) 

실업인정일 전에 워크넷에서 입사지원 2건을 하면 별도 증빙 없이 자동 반영돼요.

그래서 구직활동 준비는 대부분 워크넷에서 처리하는 게 가장 편해요.

✔️ 고용보험 vs 워크넷, 이렇게 다릅니다!

구분고용보험워크넷

역할 실업급여 행정 처리 구직활동 지원 플랫폼
주요 기능 수급신청, 인정일 입력, 지급내역 확인 이력서 등록, 입사지원, 활동 관리
계정 고용보험 회원가입 필요 워크넷 회원가입 필요
연동 여부 워크넷 활동 자동 연동 입사지원 내역 고용보험에 자동 전달

✔️ 두 사이트 언제 어떻게 써야 할까?

  1. 1️⃣ 퇴사 후 워크넷에서 구직신청 + 이력서 등록
  2. 2️⃣ 고용보험 사이트에서 실업급여 수급자격 신청
  3. 3️⃣ 실업인정일마다 워크넷에서 구직활동 (입사지원) → 고용보험에 자동 반영
  4. 4️⃣ 고용보험에서 실업인정일 신청 + 급여 지급 확인

✔️ 실수 방지 꿀팁

  • ✔️ 워크넷 활동했다고 해서 자동으로 실업급여 신청되는 거 아님!
  • ✔️ 두 사이트 모두 회원가입해야 하고, 각자 로그인해야 함
  • ✔️ 워크넷에서 구직활동한 날짜가 실업인정 기간 안이어야만 인정됨
  • ✔️ 워크넷 말고 다른 채용사이트 이용 시, 스크린숏 등 증빙 필수

✔️ 마무리 요약

  • 고용보험: 실업급여 신청 및 인정일 처리
  • 워크넷: 구직활동(입사지원) + 자동 연동
  • 두 사이트는 역할이 다르니 반드시 함께 사용해야 함
  • 헷갈리면 ‘고용보험 = 신청 / 워크넷 = 활동’으로 외우기!

다음 글에선 실업급여 수급 중 아르바이트 가능한지, 조건은 뭔지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반응형